제목
낙안웁성 사적 302호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동. 서. 남게리
작성자
이계석
작성일
2009-12-22
조회수
4173
낙안  웁성은  현존하는   조선시대의   웁성들  가운데    원형이  가장  잘조본되어있으며  성안에는  전통  가옥들이  잘  보존  되어있다.  이  웁성은  고려후기에  왜구에  작은  침입이  있어    조선태조 [1397]년에  훍으로  쌓았었다.  세종실록  에  의하면  세종 6년 [1414로부터]  여러  해에  걸쳐  돌로  다시  쌓아그의  규묘를  넗혔다고  한다.  웁성  전체   모양을  장방향이며   길이는  1.410m이다.  동.  서  남쪽  3곳에는  성안에  큰도료와  서로  연결된  문이있고  적어공격을  효가적으로    방어하기  위한  4군데의  성박으로  돌출되어  있다.  웁성안에는  90여  가구의  민가들이  있는데.   보통 1가구당2-3체의  초가집과   마당  밭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가집들은  3칸정도의  일자형  안체와  아레체.  그리구  농기구을  보관하거나  외양칸으로    겸용하는   헛간체와    재레식  변소  {화장실}  이용하는  잿간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현대와  운걸에  따라  전통적인  마을의   모습이    변행되기  시작하였고  .성의  구조가  붕괴되면서   점진적으로   소실됨에  따라  1983년  사적  302호로    지정하고   웁성의 보존사업을  점진적으로  보존하였다. 특히  백성들이  살던  초가집들을  다시복원하고  초가집들  가운데  보존가치가  있는  집들은  가장높은  9등은    중요민속자료로  지정하고.  일부  번형되거나  날근  집들은  복원  관리하였다.  관청터에서는  관아와  겍사주변의  담장  등  .월대  .삼문  등  발굴   복원하였다 .  이곳에는  여러  성씨가  모여  살았으며  이마을  중앙에는  선정을  베풀었던  군수  임경업[1594]등의  600여년의  운행나무가  있으며  이  운행나무는  마을위  수호신으로  밋고  가꾸어   지금도   자라고  있다.  이곳에는    임경업군수   비각이  있으며    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  47호로  지정되어  있다.  나안군수를  지낸  임경업  장군의  선정  비각은  비문위   기록으로  보아   선정비는  임경업  장군이  낙안군수를    지내고 [1626-1628]년에  이임한  직후인  인조6년  [1628]  4월에  체웠음을   알수  있다.   낙안웁성에는   오태식  선생[1895. 7. 29- 1953. 9. 7은  낙안웁성   민속마을내  순천시  낙안면    등내리  398번지에서   조선말기   판소리.  고수  가야금  신조  및병창의  대망인인   오수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당시  낙안웁성  민속마을에   살고  있었던   판소리의  대가  국창   송만갑  선생으로  부터   판소리.  박덕기  선생으로  부터   가야금을  배운   오태식  선생은  판소리.  창극에도  남다른   제주를  가졌을  뿐안아니라   가야금  병창을   국악의   한  장르로  정립한    명인으로  가야금  병창의   최고봉으로  알려지고  있다.  오태식  선생의    대표적인   재자로는   가야금  병창  중요무형  문화재로   지정되었던  박귀회.  경북  무형문화재  제 19호로   지정되어쑈던    장월중선  등이  있다.  현재는   중요무형  문화재로  지정된  안숙선  강정숙과    전주조교  정에진   경북  무형  문화재로   지정된  주영회   .  광주  무형  문화재로  지정된  문명자  그외에   많은  중요무형  문화재  이수자들이   가야금  병칭의   맥을   이어가고  있다.  이곳에는  평지가   되어있으며   전국각지에서  만은  관광겍들이  둘러보고  간다. 
2009년  12월  22일  火요일날  아침  5시부터  오후 7시까지  순천시   낙안면  동. 서  남내리  낙안성  주변의  문화재  답사를  하였다 .타지역에서  온  여학생들과  함께  낙안성  주변의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돌아보는  게기가  되어  선조들이  물려준  유산을  잘보존하였던  것이다.  이곳에는  바다바람이  불어와  날씨는   춥지  않았으며  구경하는  사람들은   편안하계  구경하였던   곳이다.

댓글보기(0)